데라야마 슈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라야마 슈지는 일본의 시인, 극작가, 영화감독, 작사가로, 실험적인 작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35년 아오모리현에서 태어나 와세다 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했으나 중퇴했다. 1967년 극단 텐조 사지키를 결성하여 사회 문제를 파격적으로 다룬 연극을 선보였으며, 영화, 라디오 드라마, 텔레비전 드라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그의 작품은 실험성과 독창성으로 평가받으며, 사후에도 기념관 건립, 문학상 제정 등을 통해 기려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경변으로 죽은 사람 -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는 터키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자로, 오스만 제국의 몰락과 터키 독립 전쟁에서 활약하며 터키의 근대화와 세속화를 위한 개혁을 단행하여 현대 터키의 정체성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터키 국민들에게 국부로 추앙받는다. - 간경변으로 죽은 사람 - 프란체 프레셰렌
프란체 프레셰렌은 슬로베니아의 시인이자 변호사로, 슬로베니아 문학의 선구자이자 국민 시인으로 인정받으며, 그의 작품은 슬로베니아 국민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여 문화적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 아오모리현 출신 - 미카미 시오리
미카미 시오리는 2008년 성우로 데뷔하여 『유루유리』의 아카자 아카리, 『진격의 거인』의 크리스타 렌즈/히스토리아 레이스 역으로 알려진 아오모리현 출신의 일본 성우이다. - 아오모리현 출신 - 아라이 히로후미
아라이 히로후미는 한국명 박경배로, 2001년 데뷔하여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서 활동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았으나, 2019년 성폭행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은 재일 한국인 3세 일본 배우이다. - 일본의 수필가 - 이와야 사자나미
이와야 사자나미는 메이지 시대에 아동 문학을 보급하고 일본 최초의 아동 문학 총서 간행, 전승 설화 리텔링, '옛날이야기 하이쿠 그림' 창조 등을 통해 일본 근대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아동 문학가, 소설가, 시인, 수필가이자 문예 평론가이다. - 일본의 수필가 - 미시마 유키오
미시마 유키오는 1925년 도쿄에서 태어나 소설, 희곡, 평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본의 전통과 현대 사이의 갈등을 작품에 담아낸 20세기 일본 문학의 중요한 인물이며, 1970년 자위대에서 쿠데타를 시도하다 실패하고 할복 자살했다.
데라야마 슈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데라야마 슈지 |
출생일 | 1935년 12월 10일 |
출생지 | 아오모리현히로사키시 |
사망일 | 1983년 5월 4일 |
사망지 | 도쿄도 스기나미구 (가와키타 종합병원) |
국적 | 일본 |
직업 | 가가인 극작가 시인 배우 영화감독 각본가 작사가 평론가 |
활동 기간 | 1956년 - 1983년 |
학력 | 와세다대학교 교육학부 국문학과 중퇴 |
장르 | 단가 희곡 하이쿠 시 작사 영화 각본 평론 번역 |
사상적 경향 | 전위 단가, 언더그라운드 연극 |
배우자 | 구조 교코(1963년 - 1970년) |
수상 | |
수상 내역 | 단가 연구 50수 영 (1954년) 예술선장 신인상 (1974년) 시체스 카탈로니아 국제 영화제최우수 감독상 (1985년) |
대표 작품 | |
대표 작품 | 『나에게 5월을』 『전원에 죽다』 |
2. 생애
데라야마 슈지는 1935년 12월 10일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서 태어났다. 아홉 살 때 어머니가 규슈로 이사하면서 미사와시의 친척집에서 살았다. 아오모리 대공습을 겪었고, 아버지 데라야마 하치로는 태평양 전쟁 말기인 1945년 9월 인도네시아에서 사망했다.
1951년 아오모리 고등학교에 입학, 1954년 와세다 대학교 교육학부에 입학하여 국어국문학을 전공했으나 신증후군으로 중퇴했다. 18세에 단가 연구상을 받았다.
1963년 구조 교코와 결혼, 극단 텐조 사지키를 공동 설립했다. 이후 구조 교코는 히가시 유타카와 불륜 관계를 맺었고, 1970년 데라야마와 이혼했으나, 1983년 데라야마가 간 경변증으로 사망할 때까지 함께 활동했다. 구조 교코는 2014년 사망했다.
2. 1. 유년 시절 및 학창 시절
데라야마 슈지는 1935년 12월 10일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서 아버지 데라야마 하치로와 어머니 하쓰의 외아들로 태어났다.[22] 그는 "달리는 열차 안에서 태어났고, 그래서 고향은 없다"라고 썼지만, 어머니와 전 부인 구조 교코에 따르면,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 곤야초에서 태어났다고 한다.[22] 호적상으로는 1936년 1월 10일이 출생일인데,[22] 어머니는 "아버지의 일이 바빠 산후 요양을 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본적지는 아오모리현 가미키타군 로쿠노헤마치 (현 미사와시)이다.[22]아버지는 도오기주쿠 고등학교 변론부 출신으로 당시 히로사키 경찰서에서 근무하던 특고경찰 형사였다.[22] 아버지의 전근으로 인해 데라야마는 현내 각지를 전전했다. 1941년에는 하치노헤시로 이주했고,[22] 아버지가 전쟁터로 나가면서 어머니와 함께 미사와시로 피난했다. 그 후 어머니는 규슈에서 일하기 위해 아오모리시의 친척에게 데라야마를 맡겼다.[22]
1945년, 데라야마는 아오모리 대공습을 겪었고,[22] 같은 해 9월에는 아버지가 셀레베스섬에서 전사했다는 소식을 들었다.[22] 종전 후, 데라야마는 아버지의 형이 운영하는 미사와역 앞 데라야마 식당 2층으로 이주하여 고마키 초등학교로 전학했다.[22] 어머니는 미군 캠프에서 일하며 미군에 압류된 민가로 이사했다.
1948년, 데라야마는 미사와 시립 고마키 중학교에 입학했다.[22] 어머니가 후쿠오카현의 미군 기지로 이사하면서, 그는 아오모리시에 있는 외삼촌 사카모토 유조의 영화관 "가부키좌"에 맡겨졌다.[22] 이후 아오모리 시립 노와키 중학교로 전학했다.
1949년, 데라야마는 사카모토 집에 맡겨졌다.[22] 중학교 2학년 때 교타케 구미와 친구가 되었고,[23] 하이쿠를 짓던 교타케 구미의 영향을 받아 하이쿠에 몰두했다. 문예부에 들어가 하이쿠, 시, 동화를 학교 신문에 썼다.
1950년, 아오모리 시영 구장에서 후지모토 히데오가 달성한 일본 프로 야구 사상 첫 퍼펙트 게임을 직접 관람했다.
1951년, 아오모리현립 아오모리 고등학교에 입학하여 신문부, 문예부에 소속되었다.[22] "야마비코 하이쿠회"를 결성하고,[24] 고등학교 1학년 말경 "교내 하이쿠 대회"를 주최했다.[25] 전국 학생 하이쿠 회의를 결성하여 하이쿠 개혁 운동을 전국에 호소했으며, 교타케 구미와 하이쿠 잡지 『목양신』을 창간하여 1954년 제7호까지 편집·발행을 계속했다.[26] 고등학교 동기생 사와다 고이치와는 가끔 학교를 빼먹고 함께 영화를 보는 정도였다고 한다. 고등학교 시절 데라야마는 사카모토가 새로 지은 아오모리시 마쓰바라의 집에 하숙하며, 쓰쓰미강 제방을 통해 통학했다.
2. 2. 문단 데뷔와 극단 활동
1954년, 와세다 대학교 교육학부 국문학과(현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여 야마다 타이치와 동급생이 되었다. 와세다 대학 단가회에 들어가면서 단카에 열중하게 되었는데, 나카조 후미코의 "유방 상실"에 감동받아 단가를 짓는 의욕을 높였다.나카이 히데오는 데라야마의 작품을 특선으로 선정하고 "체호프제"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데라야마는 "불의 계주"라는 글에서 나카조 후미코의 작품이 자신에게 단가에 대한 정열을 주었다고 밝혔다.
데라야마의 단가는 하이쿠계에서 나카무라 소탄, 니시토 미키 등의 작품을 모방했다는 비판을 받았고, 구스모토 겐키치는 "모방 꼬마"라고 조롱하기도 했다. 하지만 나카이 히데오는 데라야마를 옹호하며 기존 단가에 대한 안티테제로 그의 작품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데라야마는 단가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증폭시키고 변환시킨 픽션의 세계를 만들어갔다. 그는 단가뿐만 아니라 평론, 시, 연극, 영상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며 자신만의 "데라야마 월드"를 구축해갔다.
1955년, 19세의 데라야마는 "정말로 자신에게 성실하기 위해서는 어떤 수단이라도 써서 하고 싶은 말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해, 신장증으로 장기 입원하게 되었고, 이듬해 퇴학하여 생활 보호를 받게 되었다.[27]
1957년 제1 작품집 『나에게 오월을』, 1958년 제1 가집 『하늘에는 책』을 간행했다. 1959년, 타니카와 슌타로의 권유로 라디오 드라마를 쓰기 시작했고, 「나카무라 이치로」로 민방 회장상을 수상했다. 이시하라 신타로, 오에 겐자부로 등과 젊은 일본의 모임을 결성, 60년 안보에 반대했다.
1960년, 라디오 드라마 『어른 사냥』이 방송되었고, 극단 사계에서 희곡 『피는 서서 잠든다』가 상연되었다. 시노다 마사히로 감독 작품의 시나리오를 담당하며 오시마 나기사를 만났다. 1963년, 쿠죠 에이코와 결혼했다.[28]
1964년, 방송 시극 「산마」가 이탈리아상 그랑프리를 수상하고, 「대례복」이 예술제 장려상을 수상했다.
1967년, 텐조 사지키 극단을 결성했다.[7] 극단 이름은 마르셀 카르네 감독의 영화 『천국의 아이들(Les Enfants du Paradis)』의 일본어 번역에서 유래했다. 이 극단은 사회 문제를 파괴적인 관점에서 다루는 많은 논쟁적인 연극을 무대에 올렸다.[7] 아키락스 우노, 요코오 타다노리, J.A. 세저, 미카미 칸, 안도 고헤이, 스즈키 이즈미, 키시다 리오 등 많은 예술가들이 텐조 사지키와 협력했다.
데라야마는 시민 생활에 대한 환상적인 풍자인 '도시 연극'을 실험하기도 했다.
또한 같은 해, 미사와에 실험 영화관과 갤러리 '유니버셜 중력'을 시작했다.
2. 3. 영화감독 활동과 만년
데라야마 슈지는 1971년 영화 《책을 버리고 거리에 나가자》로 산레모 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하며 영화감독으로 데뷔했다.[31] 1974년에는 《전원에 죽다》를 발표하여 문화청 예술제 장려 신인상과 예술선장 신인상을 수상했다.[34]그의 작품에는 학교 교육보다 권투와 경마를 통해 삶을 배울 수 있다는 주장을 담은 에세이가 많다. 그는 1960년대 후반 일본의 "가출" 운동의 중심 인물 중 한 명이었으며, 그의 책, 연극, 영화 《책을 버리고 거리로!》(書を捨てよ、町へ出よう일본어)에 이러한 사상이 잘 드러나 있다.
1979년 간경변으로 입원[34]했던 데라야마는 1981년 간경변이 재발하여 다시 입원했다.[35] 1982년에는 아사히 신문에 시 '그리운 우리 집'을 발표하고, 파리에서 '텐조 사지키'의 마지막 해외 공연으로 '노비훈'을 상연했다. 연말에는 마지막 연출 작품인 《레밍 - 벽을 빠져나가는 남자 -》를 키노쿠니야 홀에서 상연했다.[27]
1983년, 데라야마는 도쿄도 미나토구미타에 거주 중 간경변이 악화되어 아사가야의 가와키타 종합 병원에 입원했다. 이후 복막염을 앓다가 5월 4일 패혈증으로 사망했다.[21] 그의 장례식은 다니가와 슌타로가 장례 위원장을 맡아 진행되었다.[37]

그의 영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제목 | 개봉 연도 | 비고 |
---|---|---|
책을 버리고 거리에 나가자 | 1971년 | 산레모 영화제 그랑프리 수상 |
전원에 죽다 | 1974년 | 문화청 예술제 장려 신인상, 예술선장 신인상 수상 |
복서 | 1977년 | |
초미궁 | 1978년 | |
상하이 이인 창관/차이나 돌 | 1980년 | |
안녕 방주 | 1982년 (개봉 1984년) | 원작: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백년의 고독》 (원작 크레딧 삭제 후 개봉)[62] |
데라야마 슈지 & 타니가와 슌타로 비디오 레터 | 1983년 |
데라야마 슈지의 작품 세계는 문학, 연극, 영화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실험적이고 전위적인 성격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작품들은 학교 교육보다는 권투나 경마와 같은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삶을 배울 수 있다는 독특한 주제 의식을 담고 있으며, 이는 1960년대 후반 일본의 "가출" 운동과도 연결된다.
3. 작품 세계
대표작으로는 『책을 버리고 거리로 나가자』, 『전원에 죽다』, 『상하이 이인창관』, 『안녕 하코부네』 등이 있다.
1967년에는 아방가르드 극단 텐조 사지키를 결성하여, 사회 문제를 파격적으로 다루는 논쟁적인 연극들을 무대에 올렸다.[7] 이 극단에는 아키락스 우노, 요코오 타다노리, J.A. 세저, 미카미 칸 등 다양한 예술가들이 참여하여 데라야마 슈지의 작품 세계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다. 또한, '도시 연극'이라는 실험적인 연극 형식을 시도하며 시민 생활에 대한 환상적인 풍자를 선보이기도 했다.
1995년 그의 13주기를 기념하여 스나고야 서방이 데라야마 슈지 단가상을 제정했으며, 1997년 아오모리현 미사와시에 미사와시 데라야마 슈지 기념관이 건립되었다. 2001년 아사히 신문에서 아사히 무대 예술상을 창설하며, 장래가 촉망되는 신인에게 수여되는 데라야마 슈지상을 제정하기도 했다(2008년까지 운영).[38]
2006년 국제 데라야마 슈지 학회가 발족하여 그의 작품에 대한 국제적인 연구를 촉진하고 있으며,[41] 2015년 탄생 80주년을 맞아 다양한 기념행사가 열렸다. 2021년 오카야마현 쓰야마시에 데라야마 슈지관이 개관되었으며, 2024년 탄생 9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회가 개최될 예정이다.[52]
데라야마 슈지는 작사가로도 활동하여 100곡이 넘는 곡의 가사를 썼으며, 연극 및 영화 관련 작품까지 포함하면 600곡이 넘는 방대한 작품을 남겼다. JASRAC 데이터베이스에는 "데라야마 슈지"로 검색하면 987개의 작품이 등록되어 있다.[63] 대표적인 작사 작품으로는 때로는 엄마 없는 아이처럼 (1969년, 카르멘 마키), 내일의 죠 (1970년, 오토 이사오), 힘내라 나가시마 자이언츠 (1975년, 유하라 마사유키) 등이 있다. 그는 나가노 시 시가의 보작사도 담당했다.[64]
3. 1. 주제 의식
데라야마 슈지의 작품은 학교 교육보다 권투나 경마 같은 경험을 통해 삶을 배울 수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그는 1960년대 후반 일본 "가출" 운동의 중심 인물 중 한 명이었으며, 그의 저서, 연극, 영화인 『책을 버리고 거리로!』(書を捨てよ、町へ出よう일본어)에 이러한 사상이 잘 나타나 있다.
1967년 데라야마는 텐조 사지키 극단을 결성했는데,[7] 이 극단은 아방가르드 예술을 추구하며 사회 문제를 파격적으로 다루는 논쟁적인 연극들을 무대에 올렸다.[7] 주요 연극으로는 "푸른 수염", "예스", "뚱보 오야마의 범죄" 등이 있다.
아키락스 우노, 요코오 타다노리, J.A. 세저, 미카미 칸, 안도 고헤이, 스즈키 이즈미, 키시다 리오 등 많은 예술가들이 텐조 사지키와 협력하거나 단원으로 활동했다. 데라야마는 또한 '도시 연극'이라는 실험적인 연극 형식을 통해 시민 생활에 대한 환상적인 풍자를 시도했다.
3. 2. 문학적 특징
데라야마 슈지는 단가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증폭시키고 변형하여 허구의 세계를 만들어냈다. 그는 단가를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사용했으며, 문단 데뷔 후에는 평론, 시, 연극, 영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데라야마에게 이 모든 것은 서로 다른 매체가 아니라 동시에 펼쳐지는 하나의 세계였다. 그는 특정 장르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만의 '데라야마 월드'를 구축했으며, 콜라주, 몽타주 등의 기법으로 사실과 허구를 뒤섞었다. 훗날 "직업은 데라야마 슈지입니다"라고 스스로 칭한 그의 예술 세계는 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준다.[38]
19세(1955년)의 데라야마는 "자신에게 진실하기 위해서는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하고 싶은 말을 해야 한다. 수식, 풍자, 연기가 들어가는 것을 험담하는 것은 우스꽝스럽다"라고 말했다.[40] 그는 "체호프제"로 제2회 단가 연구 신인상을 수상했다.[27]
3. 3. 연극 및 영화적 특징
데라야마 슈지는 학교 교육보다 권투와 경마 같은 경험을 통해 삶을 배울 수 있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그의 저서, 연극, 영화인 『책을 버리고 거리로 나가자』에 잘 나타나 있다. 1960년대 후반 일본 "가출" 운동의 중심 인물 중 한 명이었다.[7]
1967년 데라야마는 텐조 사지키 극단을 결성했는데,[7] 이 극단은 아방가르드에 전념했으며, 도쿄 거리나 개인 주택과 같은 전통적이지 않은 장소에서 사회 문제를 파괴적인 관점에서 다루는 많은 논쟁적인 연극을 무대에 올렸다.[7] 주요 연극으로는 "푸른 수염", "예스", "뚱보 오야마의 범죄" 등이 있다.
아키락스 우노, 요코오 타다노리 같은 예술가들이 텐조 사지키의 광고 포스터를 디자인했고, 음악적으로는 실험적인 작곡가 J.A. 세저, 포크 음악가 미카미 칸과 긴밀히 협력했다.[8] 와세다 대학교 동문인 안도 고헤이는 제작 보조로, SF 작가 스즈키 이즈미는 배우로 활동했으며, 극작가 키시다 리오는 데라야마의 멘토로서 『신토쿠마루』, 『관람석』, 『레밍스』 등을 공동 작업했다.
데라야마는 시민 생활에 대한 환상적인 풍자인 '도시 연극'을 실험하기도 했다. 그의 작품은 실험성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영화와 연극은 다음과 같다:
제목 | 연도 | 종류 | 비고 |
---|---|---|---|
고양이학 | 1960 | 영화 | 분실[18] |
우리 / 새장 | 1964 | 영화 | |
마츠모토 토시오 감독의 《어머니/하하타치》 | 1967 | 영화 | |
하니 스스무 감독의 《나나미: 첫사랑의 불길》 | 1968 | 영화 | |
시노다 마사히로 감독의 《불의 남자 부라이칸의 스캔들》 | 1970 | 영화 | |
토마토 케첩 황제 | 1971 | 영화 | 단편 버전 |
가위바위보 전쟁 | 1971 | 영화 | |
책을 버리고 거리로 나가자 | 1971 | 영화 | |
롤러 | 1974 | 영화 | |
나비 | 1974 | 영화 | |
청소년을 위한 영화 안내서 | 1974 | 영화 | |
전원: 죽음을 찾아서 | 1974 | 영화 | |
미궁담 | 1975 | 영화 | |
천연두 이야기 | 1975 | 영화 | |
심판 | 1975 | 영화 | |
말도로르의 노래 | 1977 | 영화 | |
지우개 | 1977 | 영화 | |
그림자 영화 - 머리가 둘 달린 여자 | 1977 | 영화 | |
독서 기계 | 1977 | 영화 | |
사람의 척도를 묘사하려는 시도 | 1977 | 영화 | |
복서 | 1977 | 영화 | |
히가시 요이치 감독의 《세컨드 베이스》 | 1978 | 영화 | |
토마토 케첩 황제 | 1971 | 영화 | 장편 |
열정의 과실 | 1981 | 영화 | |
레밍 | 1983 | 영화 | |
풀 미궁 | 1983 | 영화 | |
비디오 레터 | 1983 | 영화 | 타니카와 슌타로와 공동 제작 |
안녕 방주 | 1984 | 영화 |
4. 주요 작품
데라야마 슈지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영화'''
- 책을 버리고 거리로 나가자(書を捨てよ町へ出よう일본어)
- 모피의 마리
- 전원에 죽다 (1974년)
- 상하이 이인창관 (1981년)
- 안녕 하코부네 (1984년)
- 토마토 케첩 황제(1971, 장편)
- 책을 버리고 거리로 나가자(1971)
- 전원: 죽음을 찾아서(1974)
- 복서(1977)
- 열정의 과실(1981)
- 레밍(1983)
- 풀 미궁(1983)
- 타니카와 슌타로와 공동 제작한 비디오 레터 (1983)
- 안녕 방주(1984)
'''시, 가집'''
- 나에게 오월을 (1957년) - 제1 작품집
- 맨발의 사랑 노래 (1957년)
- 뱃노래 시극 작품집 (1957년)
- 하늘에는 책 (1958년) - 가집
- 피와 밀 (1962년) - 가집
- 외톨이인 당신에게 (1965년)
- 전원에 죽다 (1965년) - 가집
- 장편 서사시·지옥편
- 테라야마 슈지 전 가집 (1971년)
- 현대 시문고 테라야마 슈지 (1972년)
- 나의 금지편 (1973년) - 구집
- 꽃가루 항해 (1975년) - 구집
- 테라야마 슈지 하이쿠 전집 (1986년)
'''라디오 드라마'''
- 나카무라 이치로(中村一郎) (1959년, RKB 마이니치 방송)
- 어른 사냥 (1960년, RKB 마이니치 방송)
- 새장 속의 남자 (1960년, 주부닛폰 방송)
- 언제나 뒷문으로 노래했다 (1961년, 닛폰 방송) (출연)
- 이제 부르지 마, 바다여 (1961년, 닛폰 방송)
- 오소레산 (1962년, NHK 라디오 제2)
- 이누가미 걷기 (1963년, 홋카이도 방송)
- 상자 (1964년, NHK 라디오 제2)
- 야만바 (1964년, NHK 라디오 제2)
- 대례복 (1965년, 주부닛폰 방송)
- 안녕, 인디아 (1965년, NHK 라디오 제2) (시)
- 코멧 이케야 (1966년, NHK 라디오 제1·제2)
- 캐스터 (1966년, 분카 방송)
- 만다라 (1967년, NHK-FM)
- 묵시록 (1969년, NHK-FM)
'''TV 드라마'''
- Q -어떤 기묘한 진단서- (1960년, KR 텔레비전)
- 사랑의 극장 『가족 모임』 (1961년, 니혼 TV)
- 히타치 패밀리 스테이지 『고독한 청년의 휴가』 (1962년, TBS) (출연)
- 텔레비전 극장 『악어』 (1962년, NHK)
- 뜻대로 하세요 제7회 『톳·톳·클럽의 신사들』, 제19회 『수염』 (1962년, NET)
- 사랑의 극장 『전원에 죽다』 (1962년, 니혼 TV)
- 텔레비전 극장 『불사조』 (1962년, NHK)
- 사랑의 극장 『어머니가 혼자 가는 커피 가는 기계』 (1962년, 니혼 TV)
- 텔레비전 극장 『한 마리』[61] (1963년, NHK)
- 힘차게 살아라! 제2회 (1964년, TBS)
- 엄마 제2시리즈 제230회 『계단을 반 내려온 곳』 (1964년, TBS)
- 1천만 명의 극장 『바다에 가고 싶다』 (1964년, 간사이 TV)
- 텔레비전 지정석 『나무』 (1965년, NHK)
- 사계절에 꽃 피는 『산이 있는 강이 있다』 (1965년, NHK)
- 엄마 제2시리즈 제316회 『날치 노래』 (1965년, TBS)
- 우리 마음의 갈매기 (1966년, NHK)
- 격류 일본사 제6회 「구스노키 마사시게」(1966년, MBS 텔레비전)
- NHK 극장 『9월이 올 때마다』 (1966년, NHK)
- 격류 일본사 제7회 「아시카가 타카우지」(1966년, 마이니치 방송)
- 일장기 (1967년, TBS) - 구성 (다큐멘터리 작품)
- 도시바 일요극장 『자장가 유래』 (1967년, RKB 마이니치 방송)
- 수장기 (1968년, NET)
'''각본'''
- 모두 죽이는 노래보다 권총이여 안녕! (1960년)
- 마른 호수 (1960년)
- 내 사랑의 여정 (1961년)
- 저녁놀에 붉은 내 얼굴 (1961년)
- 눈물을, 사자의 갈기에 (1962년)
- 첫사랑・지옥편 (1968년)
- 무뢰한 (1970년)
- 서드 (1978년)
- 괴도 지고마 음악편 (1988년)
- 푸른 씨앗은 태양 속에 있다(1963년)
- 호두까기 인형(불명)
- 책을 버리고 거리에 나가자(1971년)
- 전원에 죽다(1974년)
- 복서(1977년)
- 초미궁(1978년)
- 상하이 이인 창관/차이나 돌(1980년)
- 안녕 방주(1982년/개봉 1984년)
- 데라야마 슈지 & 타니가와 슌타로 비디오 레터 (1983년)
'''실험 영화'''
- 고양이 학(1960년) - 현존하지 않음.
- 우리 갇힌 죄수(1962년)
- 토마토 케첩 황제(1970년)
- 가위바위보 전쟁(1971년) - 『토마토 케첩 황제』의 발췌 및 재구성판.
- 로라(1974년)
- 나비 의상기(1974년)
- 청소년을 위한 영화 입문(1974년)
- 천연두 담(1975년)
- 미궁담(1975년)
- 심판(1975년)
- 두 머리 여자(1977년)
- 말도로르의 노래(1977년)
- 지우개(1977년)
- 일치법사를 기술하는 시도(1977년)
- 서적 보기 기계(1977년)
'''작사'''
데라야마 슈지가 작사한 악곡은 가사 제공만으로도 100곡 이상이며, 연극, 영화 관련을 포함하면 600곡을 훌쩍 넘는다. JASRAC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데라야마 슈지"로 검색하면 987개의 작품이 등록되어 있다.[63]
- 싸워라! 오스파(싸워라! 오스파 주제가. 1965년, 작곡: 토미타 이사오, 노래: 야마다 타로)
- 유미의 노래(「싸워라! 오스파」 엔딩 테마. 1965년, 작곡: 토미타 이사오, 노래: 히가시야마 아케미)
- 코메트 씨(코메트 씨 주제가. 1967년, 작곡: 유아사 죠지, 노래: 구도 유미코)
- 코메트 씨가 오고나서(「코메트 씨」 주제가. 1967년, 작곡: 유아사 죠지, 노래: 아시노 히로시)
- 섀더의 노래(모험 소년 섀더 주제가. 1967년, 작곡: 마스다 토시토시, 노래: CA 팝스, 스즈키 타다시)
- 괴인 고스터의 노래(「모험 소년 섀더」 삽입곡. 1967년, 작곡: 마스다 토시토시, 노래: 나가히로)
- 전쟁은 몰라(1967년, 사카모토 스미코, 더 포크 크루세이더스)
- 용사의 고향(1967년, 사카모토 스미코)
- 타올라라 서킷(1967년, 더 린드&린더스)
- 나가노 시가(1967년, 단, 보작. 작사: 토에다 히로시, 작편곡: 요네야마 마사오)
- 눈물의 오르페( 1968년, 포 리브스)
- 신 초련(1968년, 에나츠 케이스케)
- 갈매기(1968년, 아사카와 마키)
- 때로는 엄마 없는 아이처럼 ( 1969년, 카르멘 마키)
- 눈물의 병(1969년, 이토 키요코)
- 안녕만이 인생이라면(1969년, 로쿠몬센)
- 목 매다는 나무( 1970년, J.A. 시저)
- 술 취한 배(1970년, 미도리 마코)
- 내일의 죠 (1970년, 오토 이사오)
- 역도산의 테마 ( 1971년, 히데 유키)
- 고독이여, 너는(1971년, 더 섀덜럭스)
- 사람의 일생 숨바꼭질( 1972년, 히요시 미미)
- 너에게 달님을 주고 싶어( 1973년, 고 히로미)
- 바다 갈매기(1973년, 기타하라 미레이)
- 신주쿠 항구( 1974년, 사쿠라이 쿄)
- 해변 해당화 (1974년, 이츠키 히로시)
- 힘내라 나가시마 자이언츠 ( 1975년, 유하라 마사유키 / 1993년에 재발매)
- 미다레가미 (1975년, 사운드 스페이스)
- 괜찮으세요( 1976년, JOHNNYS' 쥬니어 스페셜)
- 나의 소식(1976년, 토요카와 탄)
- 요사노 아키코( 1978년, 아사오카 유키지)
- 더 이상 뺨을 대지 않아 ( 1979년, 아라이 사치)
- 시대는 서커스의 코끼리를 타고 ( 2008년, 두뇌 경찰)
- 아오모리 대학 교가
쇼와 42년 제정된 나가노 시 시가의 보작사도 담당했다.[64]
5. 한국과의 관계
데라야마 슈지는 생전에 한국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은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그의 작품 목록에서도 한국과 관련된 내용은 찾아볼 수 없다.
6. 평가 및 영향
데라야마 슈지의 작품은 학교 교육보다 권투와 경마 같은 경험을 통해 삶을 배울 수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그는 1960년대 후반 일본의 "가출" 운동의 중심 인물 중 한 명이었으며, 그의 저서, 연극, 영화인 『책을 버리고 거리로!』(書を捨てよ、町へ出よう일본어)는 이러한 사상을 잘 보여준다.[7]
1967년, 데라야마는 텐조 사지키 극단을 결성했다.[7] 이 극단은 "천장 갤러리"라는 뜻으로, 마르셀 카르네 감독의 영화 『천국의 아이들(Les Enfants du Paradis)』(1945)의 일본어 제목에서 따왔다. 텐조 사지키는 아방가르드 예술을 추구하며, 도쿄 거리나 개인 주택 등 파격적인 장소에서 사회 문제를 다룬 논쟁적인 연극들을 공연했다.[7] 대표작으로는 "푸른 수염", "예스", "뚱보 오야마의 범죄" 등이 있다.
텐조 사지키에는 아키락스 우노, 요코오 타다노리 등 많은 예술가들이 참여했다. 실험적인 작곡가 J.A. 세저, 포크 음악가 미카미 칸도 데라야마와 긴밀히 협력했다. 와세다 대학교 동문인 안도 고헤이는 제작 보조로, SF 작가 스즈키 이즈미는 배우로 활동했다.[8] 극작가 키시다 리오는 데라야마를 멘토로 여기며 『신토쿠마루』(『독약 소년』), 『관람석』, 『레밍스』 등을 공동 작업했다.
데라야마는 시민 생활을 풍자하는 '도시 연극'을 실험하기도 했다. 그는 미사와에 실험 영화관과 갤러리 '유니버셜 중력'을 설립했으며, 데라야마 슈지 기념관도 미사와에 있다.
텐조 사지키와 함께 데라야마는 1973년 시라즈 예술 축제에서 "피의 기원", 1976년 "바보의 배"를 연출했다. 1976년에는 제26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심사위원을 맡았다.[9]
1997년, 아오모리현 미사와시에 데라야마 슈지 기념관이 개관했다.[10] 이 기념관은 데라야마와 협력했던 시각 예술가 아와즈 키요시가 설계했다.[11] 2015년부터는 시인 사사키 에이메이가 기념관 관장을 맡고 있다.[12]
아사히 신문은 2001년 아사히 무대예술상을 신설하며 데라야마의 이름을 딴 상을 제정했다.[13] '''데라야마 슈지 상'''은 "예술적 혁신을 보여준 개인 또는 단체"에게 수여되었으나,[14] 2008년에 중단되었다.[15]
데라야마는 아사카와 마키의 《갈매기》, 카르멘 마키의 《때로는 엄마 없는 아이처럼》 등 여러 히트곡의 가사를 썼다.
2012년 3월, 런던의 테이트 모던에서 데라야마를 기리는 행사가 열렸다.[16][17]
데라야마는 경마에도 깊은 관심을 가졌다. 1956년 신장염으로 입원했을 때, 같은 병실의 한국인에게서 경마를 배웠다. 1962년부터 경마장에 다니기 시작했고, 1963년에는 암말 미오소티스에[55] 매료되어 경마 에세이를 쓰기 시작했다. 그는 경마를 인생에 비유하는 독특한 방식으로 인기를 얻었다.
1964년, TBS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서러브레드-나의 사랑』의 대본과 구성을 담당했다. 1965년에는 타치바나 상 승부 조작 의혹을 부정하는 발언을 했다.
1968년, 후나바시 경마 기수와의 만남을 계기로 남관동의 마주가 되기도 했다.[56] 1970년부터는 호치 신문 경마면에 칼럼을 연재했으며, 이는 1983년 사망 직전까지 이어졌다.
1973년에는 일본중앙경마회(JRA) 코머셜에 출연했고, 1974년에는 하이세이코 은퇴 기념 레코드 구성과 시 낭독을 맡았다. 1978년 텐 포인트 사망 후에는 추도 시 『안녕, 텐 포인트』를 남겼다.[57]
1978년 NHK 프로그램 『르포르타주 닛폰』 "더비의 날"에 출연하여 일본 더비를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담아냈다. 1981년 카부토시로 약살 미수 소동 때는 중앙 경마회에 항의문을 제출했다.
1982년 데라야마는 "나의 잊을 수 없었던 말 베스트 10"을 선정했다. 나카지마 히로유키, 요시나가 마사토 기수를 편애하며 그들에 대한 글을 썼다. 1983년 사츠키상 당일, 호치 신문 칼럼에서 미스터 시비의 승리를 예견하며 마지막 글을 남겼다.
7. 사후
1997년, 데라야마 슈지의 어머니 하츠가 기증한 유품들을 전시하는 미사와시 데라야마 슈지 기념관이 아오모리현 미사와시에 개관했다.[10] 이 기념관은 이전에 데라야마와 협력했던 시각 예술가 아와즈 키요시가 설계했다.[11] 2015년 현재, 기념관의 관장은 이전에 《책을 버리고 거리에 나가자》(1968)에 출연했던 시인 사사키 에이메이이다.[12]
아사히 신문은 2001년 아사히 무대예술상을 신설하면서 데라야마의 이름을 딴 상을 제정했다.[13] '''데라야마 슈지 상'''은 "예술적 혁신을 보여준 개인 또는 단체를 표창하기 위한 상"이다.[14] 그러나 이 상은 2008년에 중단되었다.[15]
데라야마는 아사카와 마키의 《갈매기》(Kamome)와 카르멘 마키의 《때로는 엄마 없는 아이처럼》(Toki ni wa haha no nai ko no you ni)을 포함하여 세대를 아우르는 히트곡의 가사를 썼다.
2012년 3월, 런던의 테이트 모던에서 데라야마를 기리는 행사가 열렸으며, 여기에는 쿠조 쿄코와 데라야마의 조감독인 헨리쿠 모리사키가 참석했다.[16][17]
참조
[1]
웹사이트
'I am a Terayama Shūji' – Conference at Tate Modern
https://www.tate.org[...]
2019-12-12
[2]
웹사이트
Tony Rayns on Terayama Shuji
https://www.artforum[...]
2019-12-12
[3]
문서
see Sorgenfrei's book (in particular, the back cover contains a collection of quotes glorifying Terayama).
[4]
웹사이트
Three Reasons for Criterion Consideration: Shuji Terayama's Pastoral, To Die for the Country (1974)
http://www.indiewire[...]
2011-12-06
[5]
서적
Japanese Counterculture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1-01-24
[6]
서적
Unspeakable Acts: The Avant-garde Theatre of Terayama Shūji and Postwar Jap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7]
웹사이트
Mark Webber » Tale of a Visionary: Shuji Terayama
http://markwebber.or[...]
2019-12-12
[8]
서적
Suzuki Izumi x Abe Kaoru Rabu Obu Supīdo 鈴木いづみ×阿部薫 ラブ・オブ・スピード [Izumi Suzuki x Kaoru Abe: Love of Speed]
Bunyūsha
[9]
웹사이트
Berlinale 1976: Juries
http://www.berlinale[...]
2010-07-14
[10]
웹사이트
Shuji Terayama Memorial Hall aptinet Aomori Sightseeing Guide
https://www.en-aomor[...]
2015-03-12
[11]
웹사이트
記念館について {{!}} 三沢市寺山修司記念館
https://www.terayama[...]
2019-12-15
[12]
웹사이트
Going where Terayama's rare spirit lives on
https://www.japantim[...]
2015-03-11
[13]
웹사이트
asahi.com:朝日舞台芸術賞
http://www.asahi.com[...]
2019-12-15
[14]
웹사이트
Literary Awards
http://www.jlit.net/[...]
2019-12-15
[15]
웹사이트
Performing Arts Network Japan
https://performingar[...]
2019-12-15
[16]
웹사이트
Shuji Terayama: 'Who can say that we should not live like dogs?' – Film at Tate Modern
https://www.tate.org[...]
2019-10-23
[17]
웹사이트
Poetry in Motion
https://www.artforum[...]
2012-04-21
[18]
뉴스
Through the Terayama looking glass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07-01-07
[19]
서적
The Unsilvered Screen: Surrealism on Film
https://books.google[...]
Wallflower Press
[20]
웹사이트
Sho O Suteyo, Machi E Deyo on AllMovie Sho O Suteyo, Machi E Deyo (1971)
http://www.allmovie.[...]
AllMovie
2014-01-03
[21]
웹사이트
史上初の大調査 著名人100人が最後に頼った病院 あなたの病院選びは間違っていませんか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11-08-17
[22]
문서
誰か故郷を想はざる : 追想紀行 寺山修司の風土を歩く
毎日新聞社
1993
[23]
서적
寺山修司 その知られざる青春
三一書房
1997-01-15
[24]
서적
寺山修司
平凡社
[25]
서적
職業寺山修司
日本文芸社
[26]
서적
寺山修司の牧羊神時代 青春俳句の日々
朝日新聞社
[27]
서적
寺山修司 転載か 怪物か
https://www.worldcat[...]
平凡社
2013-04-08
[28]
서적
新潮日本文学アルバム 寺山修司
新潮社
[29]
서적
新潮日本文学アルバム 寺山修司
新潮社
1993-04-05
[30]
서적
寺山修司の特集 (話の特集ライブラリー)
自由國民社
[31]
서적
現代文学鑑賞辞典
東京堂出版
2002-03-25
[32]
뉴스
寺山・唐ら九人を逮捕 アングラ劇団員が乱闘
朝日新聞
1969-12-13
[33]
서적
新潮日本文学アルバム 寺山修司
新潮社
[34]
간행물
寺山修司とタデウシュ・カントル
文化書房博文社
2013-04
[35]
뉴스
朝日新聞
朝日新聞
1980-08-01
[36]
간행물
矢崎泰久x永六輔の「ぢぢ放談」第42回
創出版
2013-05
[37]
서적
寺山修司 その知られざる青春-歌の源流をさぐって-
三一書房
1997-01-15
[38]
웹사이트
朝日舞台芸術賞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18-10-08
[39]
웹사이트
演劇ニュース:朝日舞台芸術賞が休止
https://web.archive.[...]
シアターガイド
2018-10-08
[40]
웹사이트
演劇賞:朝日舞台芸術賞
http://www.moon-ligh[...]
シアターリーグ
2018-10-08
[41]
서적
寺山修司研究 第九号
文化書房博文社
[42]
서적
寺山修司研究 第九号
文化書房博文社
[43]
서적
寺山修司研究 第九号
文化書房博文社
[44]
웹사이트
過去の映画祭
http://www.imageforu[...]
イメージフォーラム
2018-10-08
[45]
웹사이트
イメージフォーラム・フェスティバル2006:一般公募部門
http://www.imageforu[...]
イメージフォーラム
2018-10-08
[46]
웹사이트
イメージフォーラム・フェスティバル2018:東アジア・エクスペリメンタル・コンペティション 作品募集要項
http://www.imageforu[...]
イメージフォーラム
2018-10-08
[47]
서적
寺山修司未発表歌集 月蝕書簡
岩波書店
[48]
서적
寺山修司展 ひとりぼっちのあなたに
神奈川近代文学館
2018-09-29
[49]
웹사이트
特別展「寺山修司展 ひとりぼっちのあなたに」
https://www.kanabun.[...]
null
2018-10-08
[50]
문서
「神奈川近代文学館」第142号
神奈川近代文学館
2018-10-01
[51]
웹사이트
津山に「寺山修司館」オープン 民家を改装 関連資料350点展示
https://web.archive.[...]
null
2022-05-06
[52]
웹사이트
【プレビュー】「寺山修司展」10月5日(土)から世田谷文学館で
https://artexhibitio[...]
美術展ナビ
2024-12-26
[53]
서적
新訂 人物記念館事典
日外アソシエーツ
[54]
서적
寺山修司
平凡社
[55]
문서
アローエクスプレス
[56]
웹인용
競馬を愛した人々
http://www.jra.go.jp[...]
2022-02-11
[57]
웹사이트
もし朝が来たら テンポイント物語 VHS
https://www.amazon.c[...]
Amazon.com, Inc.
2019-01-09
[58]
문서
[59]
웹사이트
Twitter
https://twitter.com/[...]
田中未知
2018-11-05
[60]
서적
新潮日本文学アルバム 56 寺山修司
新潮社
[61]
문서
現存が確認できる最も古いテレビドラマ。全編フィルム、オールロケ作品。
[62]
서적
寺山修司展
神奈川文学振興会
[63]
웹사이트
音楽の森 music Forest データベース検索より
https://web.archive.[...]
[64]
웹사이트
長野市市歌
https://www.city.nag[...]
長野市
2018-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